산세가 험하여 나는 새도 쉬어 넘는다는 조령산을 다녀왔다. 조령산은 백두대간 길인 이화령과 조령 사이에 있는 산이어서 등산객 대부분 이화령을 출발하여 조령산을 오른다음 문경새재 3관 문 쪽으로 하산한다.
그러나 오늘은 집사람과 집사람 친구들이 3관 문까지 트래킹을 하기로 했기 때문에 부득이 문경새재 쪽에서 출발하여 조령산을 다녀오기로 했다. 사전에 알아본 바로는 드라마 세트장에서 조령산까지 가는 등산로가 있어 그 길을 이용하려 했지만, 드라마 세트장 매표소에서 알아보니 그 길은 폐쇄 되었다고 해서 조령원터를 조금지나 마당바위에서 조령산을 오르는 길을 택했다.
이정표에는 조령산까지 1시간 50분 정도 소요된다고 했지만, 2시간이 걸렸다. 내 걸음로 2시간이면 보통 사람은 2시간 30분에서 3시간 정도 예상해야 한다. 11시 40분 집사람 일행과 헤어져 조령산을 오르기 위해 조령원터를 출발했다.
계곡에 들어서자 약하게 내리던 빗줄기가 강해진다. 고어텍스 자켓을 입고 얼마 전 구입한 호프힐 오버트라우저를 바지위에 입었다.
따로 우의가 있지만 나는 우의를 입지 않는다. 여름에 우의를 입고 등산을 해본 사람은 그 고통을 안다. 땀에 젖은 옷 위에 비닐 우의를 걸치면 한증막에 땀복을 입고 달리기를 하는 것과 같다. 그러나 덥다고 해서 비를 그냥 맞으면 더 위험하다. 움직일 때는 모르지만 잠시 쉬고 있으면 땀과 빗물에 젖은 옷이 마르면서 체온을 빼앗아 추워지기 시작한다. 그 상태가 계속되면 저체온증이 올 수 있으므로 절대 덥다고 해서 비를 그냥 맞아서는 안된다.
그래서 우의보다는 기능성 자켓과 팬츠를 입는것이 좋다. 그러나 아무리 투습성이 좋다고는 하지만 흐르는 땀을 다 배출할 수는 없다. 그래서 중간중간 지퍼를 열어서 적당히 땀과 더위를 식히는 것이 좋다.
하산 후 자켓을 벗어보니 등산티는 흥건히 젖었지만, 오버트라우저 안에 입은 바지는 땀에 젖지 않았다. 7만 5천원을 주고 산 오버트라우저가 수십 만원이나 하는 고어텍스보다 더 성능이 뛰어나다. 이렇게 좋은 국산 제품이 있는데 왜 거품이 대부분인 고어텍스 제품을 선호하는지 모르겠다.
'Mountain Climb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백산아! 너 참 오랜만이다. (0) | 2011.12.04 |
---|---|
덕절산, 두악산 (2) | 2011.09.18 |
청량산 (0) | 2011.08.14 |
예천 - 회룡포 비룡산 (0) | 2011.07.23 |
단양 - 수리봉, 석화봉 (0) | 2011.07.17 |
댓글